본문 바로가기

함수

(2)
[JavaScript] 형변환, 연산자, 함수 문자형변환 alert 메소드의 매개변수는 문자형이므로 alert(value)에서 value가 다른 타입이면 문자형으로 자동 변환 된다. 또한 String(value) 함수 호출로 변환할 수도 있다. 숫자형변환 수학과 관련 된 함수와 표현식에서 자동으로 변환 된다. 또한 Number(value) 함수 호출로 변환할 수도 있다. 논리형변환 논리 연산 수행 시 발생한다. 또한 Boolean(value) 함수 호출로 변환할 수도 있다. 문자열과 숫자의 '+' 연산 문자열 + 숫자 = 문자열 숫자 + 숫자 + 문자열 = 숫자가 먼저 계산 되고 뒤의 문자열과 합쳐진다 기본적인 연산자의 사용과 우선 순위 등은 Java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확인해보자. 비교 연산자를 통한 문자열 비교 - ..
[Oracle(SQL)] 그룹함수와 단일행함수 함수(FUNCTION) : 컬럼 값을 읽어서 계산한 결과를 리턴함 단일행(SINGLE ROW) 함수 : 컬럼에 기록 된 N개의 값을 읽어서 N개의 결과를 리턴 그룹(GROUP) 함수 : 컬럼에 기록 된 N개의 값을 읽어서 한 개의 결과를 리턴 SELECT절에서 단일행 함수와 그룹 함수를 함께 사용 못한다 : 결과 행의 갯수가 다르기 때문에 그룹함수 : SUM, AVG, MAX, MIN, COUNT SUM(숫자가 기록된 컬럼명) : 합계를 구하여 리턴 SELECT SUM(SALARY) FROM EMPLOYEE; AVG(숫자가 기록된 컬럼명) : 평균을 구하여 리턴 SELECT AVG(SALARY) FROM EMPLOYEE; MIN(컬럼명) : 컬럼에서 가장 작은 값 리턴 취급하는 자료형은 ANY TYPE ..